관리 메뉴

내마음의 풍경

북서울 꿈의 숲 본문

서울

북서울 꿈의 숲

미소^^* 2016. 6. 28. 11:23

 

 

 

 

 

 

 

 

 

 

 

 

 

 

청운답원(잔디광장)

 

 

 

 

 

 

 

월영지* 애월정

 

 

 

 

 

 

 

                                                                                                               창녕 위궁 재사

 

 

 

 

 

 

 

 

전망대

 

 

 

전망대에 오르면 북한산 인수봉 view 가 아주 멋지다는데

이날은 흐려서,,,

인수봉이 보일 듯 말 듯

 

 

 

 

 

 

 

내려다 보이는 건물들과 북서울숲이 한 눈에 다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전망대는 아이리스의 촬영지로도 알려졌다

 

 

 

 

지난 겨울 추운 어느날에

북서울 꿈의 숲 근처에 일보러 갔다가....

이곳에 들러보았다

상상톡톡미술관 이라는 건물이 보였는데

미술관에는 시간 관계상 들어가지 못했고,

전망대가 보여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높이 올라가

내려다 보이는 북서울쪽 전망을 보았다.

한여름의 초록빛 녹음과 나무들이 자취를 감추고

삭막한 겨울이 ...

작은 땅 우리나라에서 서울은 좁은 듯 하지만 집이 많고 넓구나.

밤에도 야경을 볼 수 있게 저녁 9시까지 개방해준다 하네요

 

북서울 꿈의 숲 12경관
1 칠폭지 (7개의 폭포) 2 대솔길 3 석교 4 이야기 정원 5 꿈의 숲 미술관 6 클래스파빌리온든

 7 볼 플라자 8 꿈의숲 아트센타  9 전망대 10 청운답원 11 월영지 12 브라운가

 

날씨가 좋은 날에 북서울 꿈의 숲을 찾아,

12경관을 보세요

저는 추운날에 가서 많은 것들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답니다

 

강북구 월계로 173

 

 

창녕위궁재사

 이 집은 조선 23대 순조의 둘째 딸인 복온공주(1818~1832)

부마 창녕위 김병주(1819~1853)를 위한 재사(齋舍)입니다.

                         여기서 부마란 임금의 사위를 뜻하고, 창녕위는 김병주에게 주어진 관직의 이름입니다.  

                     1830(순조 30)에 순조의 딸인 복온공주는 김병주를 남편으로 맞아 시집을 갔는데,

                           이때 순조는 사위가 된 김병주에게 '창녕위(昌寧尉)'라는 봉작을 내렸습니다.

                                      사실 김병주는 그 유명한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복온공주의 어머니인 순원왕후 김씨도 안동 김씨입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19세기 순조, 헌종, 철종 때에는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이른바 '세도 정치'가 극에 달했을 때였습니다.  

 

                     재사(齋舍), 쉽게 말해 죽은 사람을 위해 제사를 지내는 집이란 뜻입니다.

                                                비슷한 말로 재실(齋室)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재사는 묘소를 관리하거나 제사를 드리기 위해 지은 집이므로,

                              묘소 근처에 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실제로 이 집 맞은편 산에

                                      김병주와 복온공주의 합장묘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예전에는 이 일대를 가리켜 '공주릉'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김병주와 복온공주의 무덤은 지난 2002년에 경기도 용인으로 이장되어

                                               현재는 창녕위궁재사만 남아 있습니다. 출처 도밍구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심속의 여유  (0) 2016.06.30
다시 가본 나리꽃  (0) 2016.06.28
원추리  (0) 2016.06.25
자귀나무  (0) 2016.06.25
덜꿩나무  (0) 2016.06.25